중등교사 임용 전공체육

2025 체육교육론 기출 완벽 해설! 교수이론 핵심 총정리

think1165 2025. 7. 2. 23:00
2025학년도 중등 임용시험 전공체육 중 체육교육론 영역에서 출제된 문항들은 이론의 명확한 이해뿐 아니라 실제 수업 적용력까지 평가하는 방향으로 출제되었습니다. 본 글에서는 전공A 1번·6번 문항, 전공B 3번·5번 문항에 대한 상세한 해설을 통해, 교수스타일 이론, 게임수업 모형, 수업평가 및 의사소통 기술 등 핵심 개념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수험생들은 각 문항의 출제 의도와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접근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목차

1. 전공A 1번 문항 - 게임수업모형과 GPAI

2. 전공A 6번 문항 - 교수스타일과 발문전략

3. 전공B 3번 문항 - 수업설계와 가치정향

4. 전공B 5번 문항 - 수업평가와 교수기술

5. 참고문헌

2025 전공체육 기출문제 체육교육론

1. 전공A 1번 문항 - 게임수업모형과 GPAI

 

본 문항은 메츨러(Metzler)의 전술 게임 모형 수업 단계에 따라 교수자의 수업 구성력을 평가합니다.

(1) 과제 제시 단계와 내용 연결의 정답 순서는 ⓐ-ⓑ-ⓒ-ⓓ이며, 이는 각각 초기 게임 형식, 기술 연습, 변형 게임, 정식 게임에 해당합니다. 이는 모형 내 구조적 순환 단계(TGfU)와 동일하며, 전술 문제와 기능 연습의 통합이 핵심입니다.

(2) 정식 게임 차시에서 활용된 GPAI(Game Performance Assessment Instrument)의 게임수행 요소는 돌아오기, 의사결정하기, 기술 실행하기, 위치 선정하기입니다. 이 요소들은 실제 경기 장면에서의 수행을 관찰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됩니다.

 

2. 전공A 6번 문항 - 교수스타일과 발문전략

 

본 문항은 모스턴과 애슈워스의 교수스타일 이론과 베어드의 발문 전략에 대한 이해를 묻습니다.

(1) ㉠의 교수스타일은 명령형 스타일로, 교사의 시범을 중심으로 일률적 수행을 유도합니다. ㉡의 발문 유형은 가치 발문으로, 학습자의 태도나 선택을 유도하는 윤리적 판단을 요구합니다.

(2) [가]에 제시된 수업에서 초반은 유도 발견형, 후반은 수렴 발견형 스타일을 활용하였습니다. 이 둘은 공통적으로 교사의 질문을 통해 학습을 유도하지만, 유도 발견형은 교사의 방향 제시가 더 강하며, 수렴 발견형은 다양한 해답 중 하나를 스스로 찾게 합니다.

ⓒ의 문장에서 부적절한 교사의 행동은 정답을 직접 알려주는 행위입니다. 이는 유도 발견형의 본래 목적과 어긋나므로, “답을 찾지 못하는 경우에는 다시 질문하거나 힌트를 제공하여 스스로 사고하도록 유도한다”로 수정해야 합니다.

 

3. 전공B 3번 문항 - 수업설계와 가치정향

 

이 문항은 게임 기능 발달 단계를 고려한 단원 설계와 교수자의 가치 정향을 묻고 있습니다.

(1) 초기 과제 연습에서는 교사 주도성이 강조되고, 독자적 연습에서는 학습자 주도성이 강조됩니다. ㉢에 해당하는 이론은 구성주의 학습 이론입니다.

(2) 김 교사의 단원 설계 방식은 학생중심 가치 정향에 해당합니다. 이는 학생의 자기주도성과 의미 있는 참여를 강조하는 철학적 접근입니다.

(3) [A]에서 과제의 효과성을 저해하는 요소는 “스테이션별 연습 시간을 동일하게 설정”입니다. 이는 학습자의 기능 수준에 맞춰 난이도를 조절해야 하므로, “학습자 수준에 따라 연습 시간을 차등 설정”으로 수정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4. 전공B 5번 문항 - 수업평가와 교수기술

 

시덴탑(Siedentop)의 수업 운영 및 평가 이론, 도일(Doyle)의 과제 체계 이론이 반영된 문항입니다.

(1) ㉠에 해당하는 교수 기술은 대형 정비 기술입니다. 이는 수업 전 질서와 효율을 확보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2) ㉡에 들어갈 용어는 교수 사정입니다. ⓢ의 장면은 수용적 반응으로, 이는 학생의 말에 진심으로 귀를 기울이며 정서적 지지를 표현하는 교수 행동입니다.

(3) ㉣은 교사가 공식적 과제 체계를 기대했지만, 학생이 실제 과제 체계로 다르게 반응한 사례입니다. 도일은 이 둘 사이의 간극을 줄이기 위한 과제 협상의 필요성을 강조하였습니다.

 

5. 참고문헌

  • Metzler, M. (2005). Instructional Models for Physical Education.
  • Moston, M. & Ashworth, S. (2002). Spectrum of Teaching Styles.
  • Siedentop, D. (1991). Developing Teaching Skills in Physical Education.
  • Rink, J. (2013). Teaching Physical Education for Learning.
  • 도일(Doyle), 체육수업의 과제체계 이론 (교육평가 연구소 번역,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