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전공체육 스포츠사회학 기출 완벽 해설|A10 & B7 문항 분석
요약
2025학년도 중등 체육교사 임용시험 스포츠사회학 문항은 실질적 수업 사례를 토대로 다양한 사회학 이론의 적용 능력을 평가했습니다. 본 해설에서는 전공A 10번과 전공B 7번 문항을 중심으로 구조기능주의, 매체이론, 사회학습이론, 집단 발달 이론, 스포츠 상업주의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합니다.
목차
전공A 10번 문항 해설
㉠ 명시적 기능
의도되고, 동의된, 사회적으로 기대된 기능입니다. 체력 향상은 프로그램 목적과 일치하므로 명시적 기능에 해당합니다. (Merton)
㉡ 잠재적 기능
의도되지 않았고, 예상치 못했던 결과로, 체육 흥미 감소는 잠재적 기능으로 해석됩니다.
㉢ 매체 특성 2가지
- 정의성: 메시지의 명확하고 일관된 전달
- 비상호작용성: 수용자는 정보를 일방향으로 수신
(McLuhan, 1964)
사회학습이론의 역할 학습 기제
모방(modeling)은 타인의 행동을 관찰하고 따라하는 것으로, 선배·친구의 기술을 본 학생이 해당합니다. (Leonard)
집합행동이론의 군중 유형
표출적 군중(expressive crowd)은 감정 표현 중심의 군중으로, 결승전 후 학생들의 열광 장면에 해당합니다. (Blumer)
전공B 7번 문항 해설
㉠ 스포츠 유형
참가 중심 스포츠(participant sport)는 직접 참여 자체가 목적입니다. (McIntosh)
㉡ 규범 유형
비공식 규범(informal norm)은 구성원 간 합의에 의해 형성된 규범으로, 자발적 집합행동입니다. (Mott)
스포츠 집단 발달 모형
상호작용 모형(interaction model)은 포섭·통제·영향성 등의 과정을 통해 집단이 발달합니다. (Schutz)
상업주의에 따른 가치 변화
Coakley는 상업주의에 의해 스포츠가 전략보다 시각적·극적인 요소에 집중되는 쇼화(spectacularization)가 발생한다고 봅니다.
주요 이론 해설
1. 머튼(Merton)의 구조기능주의 이론
로버트 머튼(Robert K. Merton)은 기능주의적 사회학의 주요 이론가 중 한 명으로, 사회 구조가 유지되는 원리를 기능(function)의 개념으로 설명했다. 그는 사회 제도와 행위가 사회 체계 내에서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고 보았으며, 이를 명시적 기능(manifest function)과 잠재적 기능(latent function)으로 구분했다.
- 명시적 기능은 특정 사회 제도나 행위가 의도적으로 설계되어, 예상 가능하고 사회적으로 인정되는 결과를 수반할 때 해당한다. 예를 들어, 체육 수업의 체력증진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체력을 향상시키겠다는 명확한 의도와 설계가 존재하며, 이 결과가 실제로 나타났다면 이는 명시적 기능으로 간주된다.
- 잠재적 기능은 의도되지 않았지만 발생하는 결과이며, 때때로 부정적이거나 비동의되는 형태로 드러나기도 한다. 예컨대, 체육 수업이 학생의 체력을 높였지만 동시에 스포츠에 대한 흥미를 감소시켰다면, 이는 프로그램 설계자의 의도와는 다른, 잠재적 기능으로 해석된다.
머튼은 이 기능 개념을 통해 단일 제도나 행위도 다면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으며, 이는 교육사회학 및 체육사회학에서도 중요한 해석 틀이 된다.
2. 매클루언(McLuhan)의 매체이론
마셜 매클루언(Marshall McLuhan)은 현대 커뮤니케이션 이론에서 획기적인 전환을 가져온 인물이다. 그는 "미디어는 메시지다(The medium is the message)"라는 주장으로 유명하다. 이는 전달 수단 자체가 전달 내용만큼이나 혹은 그 이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는 뜻이다.
매클루언은 미디어의 특성을 따뜻한 미디어(hot media)와 차가운 미디어(cool media)로 구분했고, 각각의 미디어는 사회적 참여의 방식, 정보의 깊이, 수용자의 반응에 따라 구별된다고 보았다. 본 문항에서 언급된 인쇄 매체(뉴스, 학교홍보지)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진다:
- 정의성(definition): 정보가 명확하고 정제되어 수용자에게 일관되게 전달됨. 인쇄 미디어는 정보의 정밀성과 객관성을 강조하며, 이는 교육현장에서 중요한 매체 특성이 된다.
- 비상호작용성: 방송이나 인쇄처럼 수용자가 수동적으로 메시지를 받아들이는 방식. 이는 TV와 달리 즉각적인 반응을 이끌어내지 않지만, 메시지를 반복적으로 강화하는 장점이 있다.
매클루언의 이론은 체육 수업과 홍보에서도 매체 선택이 학습 동기와 학생의 반응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분석하는 중요한 도구가 된다.
3. 레너드(Leonard)의 사회학습이론
사회학습이론은 행동주의 이론과 인지주의 이론의 융합적 모델로, 행동이 외부 자극뿐 아니라 타인의 행동 관찰을 통해 학습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레너드(Leonard)는 이 이론을 스포츠교육에 적용하며, 스포츠 기술과 역할 학습이 다음과 같은 기제를 통해 이루어진다고 설명했다:
- 모방(Modeling): 타인의 행동을 관찰하고 동일한 방식으로 재현하는 것. 이는 선수나 동료의 우수한 움직임, 전략 등을 보고 따라하는 행동에서 나타난다.
- 강화(Reinforcement): 관찰된 행동에 대한 긍정적 피드백이 있을 때, 해당 행동을 지속하게 되는 동기 유발 기제
- 동일시(Identification): 관찰 대상과 자신을 동일시함으로써 내면화된 학습을 가능하게 함
레너드는 스포츠현장에서 모방이 매우 강력한 학습 도구임을 강조하며, 특히 또래, 선배, 유명 선수 등의 시범 행동이 학습 동기를 증진시킨다고 분석했다. 본 문항에서 학생이 선배의 동작을 모방하며 기술을 익히는 장면은 모방 기제의 전형적인 예다.
4. 블루머(Blumer)의 집합행동이론
허버트 블루머(Herbert Blumer)는 상징적 상호작용론에 기반하여 집합행동을 다섯 가지로 분류하였다. 그중에서도 **표출적 군중(Expressive Crowd)**은 감정 발산을 주요 목적으로 하는 군중으로, 일시적이며 자발적인 특징을 가진다.
- 표출적 군중은 통제되지 않은 감정의 해방을 추구하며, 흔히 스포츠 경기장에서 팬들이 보이는 응원, 환호, 함성 등이 해당된다.
- 이는 일상적인 사회 규범에서 벗어나 비교적 자유로운 감정 표현이 허용되는 공간이기에, 학생들이 결승전에서 춤추고 환호하는 모습은 집합행동 이론상 감정 중심적 행동의 사례로 이해된다.
블루머는 이러한 군중이 특정 목적이나 이념 없이 일시적인 충동에 따라 움직인다는 점을 강조했으며, 이는 교육현장에서도 감정 표현과 수용의 경계 설정에 중요한 함의를 준다.
5. 맥킨토시(McIntosh)의 스포츠 유형론
맥킨토시(P. McIntosh)는 스포츠를 다음 세 가지로 유형화했다:
- 참가 스포츠(Participant Sport): 참여 그 자체가 목적. 학교 스포츠클럽 활동과 같이 자율성과 즐거움이 중심
- 경쟁 스포츠(Competitive Sport): 승패가 중심. 조직적 경기와 리그, 토너먼트 구조가 동반됨
- 관람 스포츠(Spectator Sport): 관중의 흥미를 중심. 프로스포츠가 대표적 예
문항에서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며 즐거움을 추구하는 스포츠클럽 활동은 참가 스포츠의 전형적인 사례다.
6. 모트(Mott)의 규범 유형
모트는 조직 내 규범을 다음과 같이 구분하였다:
- 공식 규범: 규칙집, 헌장, 법령 등 공식 문서에 명시된 기준
- 비공식 규범: 집단 내 합의나 전통에 따라 형성된 관행
문항에서 팀원 간 자율적으로 정한 '오전 6시 집합'은 규정된 강제 사항은 아니지만 팀 내부의 동의로 형성된 비공식 규범에 해당한다.
7. 슈츠(Schutz)의 스포츠 집단 발달 모형
W. Schutz는 대인관계 이론(FIRO)을 기반으로 스포츠 집단이 구성되는 과정을 **상호작용 모형(Interaction Model)**로 설명했다. 여기서 핵심은 다음 세 가지 요구 수준이다:
- 포섭(Inclusion): 집단 내 구성원으로 받아들여지고 싶은 욕구
- 통제(Control): 집단 내 역할과 권위에 대한 요구
- 애정(Affection): 정서적 유대 및 소속감
문항에서는 팀원 간 갈등과 통제, 팀워크 등의 서술을 통해 집단 발달이 단선적이 아닌 동적이고 상호작용적인 과정임을 보여준다.
8. 코클리(Coakley)의 스포츠 상업주의 비판
J. Coakley는 스포츠 사회학의 비판적 시각을 통해 상업주의가 스포츠의 본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했다. 그중 하나가 **스포츠의 쇼화(Spectacularization)**이다.
- 이는 기술적, 전략적 가치보다는 시각적·극적인 요소에 관중과 미디어가 몰입하게 되는 현상이다.
- 문항에서 학생들은 팀의 전략보다 덩크슛과 같은 개인 퍼포먼스에 열광하며, 이는 상업적 스포츠의 전형적인 특징이다.
코클리는 이러한 변화가 스포츠의 교육적·사회적 가치를 약화시킬 수 있음을 경고하였다.
문항 요약 정리표
문항 | 핵심 이론 | 핵심 키워드 | 대표 학자 |
---|---|---|---|
전공A 10번 | 기능주의, 매체이론, 사회학습, 집합행동 | 명시적/잠재적 기능, 정의성, 모방, 표출적 군중 | Merton, McLuhan, Leonard, Blumer |
전공B 7번 | 스포츠 유형론, 규범이론, 집단발달, 상업주의 | 참가스포츠, 비공식규범, 상호작용모형, 쇼화 | McIntosh, Mott, Schutz, Coakley |
참고문헌
- Merton, R. K. (1968). Social Theory and Social Structure. Free Press.
- McLuhan, M. (1964). Understanding Media. McGraw-Hill.
- Leonard, W. M. (1983). A Sociological Perspective of Sport. Macmillan.
- Blumer, H. (1969). Collective Behavior. Prentice-Hall.
- McIntosh, P. (1979). Sport in Society. C. V. Mosby.
- Mott, P. (1972). The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Organizations. Harper & Row.
- Schutz, W. (1958). FIRO Theory. Rinehart.
- Coakley, J. (2004). Sport in Society. McGraw-H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