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학년도 전공체육 기출문제 분석 | 운동심리학 A8 & B8
운동심리학의 핵심 이론을 묻는 서술형 문항 두 개를 정밀 분석합니다. A형 8번은 이미지트레이닝·자신감·주의 집중 이론을, B형 8번은 응집력·몰입 결과·성격 요인과 운동실천의 관계를 평가하고 있어, 이론적 이해와 해석 능력을 동시에 요구하는 고난도 문항입니다. 본 글에서는 각 문항의 요구 정답 수, 이론적 배경, 전공서 근거를 체계적으로 정리합니다.
운동심리학의 핵심 이론을 묻는 서술형 문항 두 개를 정밀 분석합니다. A형 8번은 이미지트레이닝·자신감·주의 집중 이론을, B형 8번은 응집력·몰입 결과·성격 요인과 운동실천의 관계를 평가하고 있어, 이론적 이해와 해석 능력을 동시에 요구하는 고난도 문항입니다. 본 글에서는 각 문항의 요구 정답 수, 이론적 배경, 전공서 근거를 체계적으로 정리합니다.
1. A형 8번 문항 해설
정답 수 및 문항 유형: 서술형 정답 총 3가지 제시 필요
① ㉠ 관련 – 생리정보 이론 (Bio-informational Theory)
정답: 생리정보 이론
이미지를 단순히 시각화하는 것을 넘어서 자극 명제, 반응 명제, 의미 명제로 구성된 A. Ashen의 이론입니다. 학생이 심박수 증가나 긴장 완화까지 떠올리는 상황은 반응 명제 중심의 심상임을 보여줍니다.
② ㉡ 관련 – 회복지향적 상태 스포츠자신감
정답: 상태 스포츠자신감
실패 후에도 점차 자신감이 회복되는 모습은 Vealey의 상태적 스포츠자신감 개념 중 회복지향적 자신감에 해당합니다.
③ ㉢ 관련 – 협소-외적 주의 집중
정답: 협소-외적 주의
결승선 후 충돌 방지를 위해 좁은 범위의 외적 자극(다른 학생들)에 집중하는 것은 Nideffer가 분류한 주의 집중 유형 중 협소-외적에 해당합니다.
2. B형 8번 문항 해설
정답 수 및 문항 유형: 서술형 정답 총 3가지 제시 필요
① [가] 관련 – 사회적 응집력
정답: 사회적 응집력
1반 학생들이 친밀감, 소속감, 상호 존중을 공유하는 모습은 Carron의 응집력 분류 중 사회적 응집력(social cohesion)에 해당합니다.
② ㉠ 관련 – 내적 보상
정답: 내적 보상
몰입의 결과로 만족을 내면적으로 경험하며 지속적으로 수업에 몰입하는 것은 Csikszentmihalyi의 ‘flow result’ 단계에서 제시된 intrinsic reward에 해당합니다.
③ ㉡ 관련 – 성격 요인 2가지 및 관계
정답: 외향성(정적), 신경성(부적)
- 외향성: 활기찬 성향으로 인해 사회적 운동 환경에서의 실천과 정적 관계
- 신경성: 정서 불안정이 지속적인 실천을 방해 → 부적 관계
Costa & McCrae의 Big Five와 Eysenck의 PEN 성격 모형 모두에 해당 요인이 나타납니다.
3. 문항 요약표
문항 | 정답 수 | 핵심 이론 | 이론 명칭 및 학자 |
---|---|---|---|
A8 - ㉠ | 3개 중 1 | 심상 이론 | Bio-informational / A. Ashen |
A8 - ㉡ | 3개 중 1 | 스포츠자신감 | Multidimensional Sport Confidence / Vealey |
A8 - ㉢ | 3개 중 1 | 주의 집중 | Attention Style / Nideffer |
B8 - [가] | 3개 중 1 | 응집력 | Social Cohesion / Carron |
B8 - ㉠ | 3개 중 1 | 몰입 결과 | Intrinsic Reward / Csikszentmihalyi |
B8 - ㉡ | 3개 중 1 | 성격 요인 | Big 5, PEN / Costa, Eysenck |
4. 참고문헌
- Ashen, A. (1979). Bio-informational Theory of Imagery.
- Vealey, R. (1986). Conceptualization of sport-confidence.
- Nideffer, R. (1976). Test of attentional and interpersonal style.
- Csikszentmihalyi, M. (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 Carron, A. V. (1982). Conceptual model of cohesion in sport teams.
- Costa, P. T., & McCrae, R. R. (1992). NEO PI-R Manual.
- Eysenck, H. J. (1967). The Biological Basis of Personality.
- 《스포츠심리학 핸드북》, 대한미디어, 2020.
'중등교사 임용 전공체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전공체육 기출 운동학습제어: 어포던스와 Hick의 법칙 완벽 정리 (0) | 2025.07.09 |
---|---|
2025 전공체육 임용 기출 완전 해설: 운동역학 영역 계산문항 총정리 (0) | 2025.07.06 |
2025 운동생리학 임용 기출 완벽 해설|젖산역치·EPOC·픽의 원리까지 (0) | 2025.07.05 |
2025 체육교육론 기출 완벽 해설! 교수이론 핵심 총정리 (0) | 2025.07.02 |
2025 전공체육 임용 기출분석. 체육과 교육과정 A5·B4 완벽 해설 (0) | 2025.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