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문
2025학년도 중등 체육 임용고사 전공A 7번, 전공B 6번 문항은 각각 올림픽 경기대회의 역사적 전개와 상징 요소와 체육대회 내에서의 윤리적 판정과 스포츠 제도화를 주제로 출제되었다. 본 포스트에서는 문항의 작성지침에 근거하여 정답 수를 분석하고, 각 문항별 정답 키워드와 연결되는 핵심 이론을 전공 개론서에 근거해 정리한다.
1.전공A 7번: 올림픽 역사와 상징 요소
문항 개요: 서술형 / 요구 정답 수: 3개
① ㉠ 올림픽 표어
정답: 더 빠르게(Citius), 더 높이(Altius), 더 강하게(Fortius)
이론: 올림픽 운동의 상징 요소
해설: 올림픽 표어는 근대 올림픽 정신을 대표하는 핵심 상징 중 하나로, 프랑스의 앙리 디동(Henri Didon) 신부가 학생들의 럭비 훈련에서 사용하던 구호에서 유래하였다. 피에르 드 쿠베르탱은 이 문구가 갖는 스포츠 교육적 가치를 높이 평가하여 1924년 파리 올림픽부터 이를 공식 표어로 채택하였다. 이 표어는 신체적 한계를 극복하고 끊임없는 도전과 성장을 추구하는 인간 중심의 스포츠 철학을 잘 드러낸다. 올림픽 운동은 경쟁을 넘어서 인류의 평화, 협력, 노력이라는 가치를 상징하며, 표어는 이러한 정신을 간결하고 강렬한 언어로 표현하고 있다. 체육사신론이나 국제스포츠이론서에서도 이 표어는 근대 올림픽의 핵심 상징으로 반복 언급되며, 그 상징성과 교육적 가치는 오늘날 체육교육 현장에서도 강조되고 있다.
② ㉡ 올림픽 신조와 (가)~(다) 배열
정답: "참가가 중요하다" → 올림픽 신조
배열: 런던 → 스톡홀름 → 앤트워프
이론: 올림픽 이념과 현대 스포츠 가치
해설: 이 문장은 1908년 런던올림픽에서 영국의 성공회 주교 에드워드 탈봇(E. Talbot)이 연설에서 강조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 이후 피에르 드 쿠베르탱이 이를 정식으로 채택하여 올림픽 신조(Olympic Creed)로 공표하였다. 이 신조는 결과 중심의 경쟁보다는 스포츠를 통한 참여, 우정, 인류애의 실현이라는 근대 올림픽의 철학을 반영한다. 따라서 이 신조는 올림픽 정신의 핵심 지향점을 대변하는 비유적 표현으로 사용된다. 한편, (가)~(다) 순서 배열은 역사적 개최 순서를 바탕으로 구성해야 하며, 런던(1908), 스톡홀름(1912), 앤트워프(1920)의 순으로 구성되는 것이 정답이다. 이러한 배열을 통해 근대 올림픽의 상징, 제도화, 정신 확립의 흐름을 구조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③ ㉢ 냉전과 관련된 대회
정답: 1952 헬싱키 올림픽
이론: 냉전과 스포츠 정치
해설: 1952년 헬싱키 올림픽은 국제정치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상징한다. 이 대회를 통해 소련이 올림픽에 처음으로 공식 복귀하면서 미국과 소련 간의 냉전 구도가 스포츠 영역으로 확장되기 시작했다. 스포츠사회학에서는 이를 '스포츠 냉전(The Cold War of Sport)' 현상의 기점으로 본다. 경기력 이상의 의미를 지닌 이 대회에서는 정치 이념과 체제 경쟁이 국기 하에 전개되었고, 메달 획득이 단순한 승리를 넘어 국가 체제 우월성을 과시하는 수단으로 작용하였다. Coakley의 이론에 따르면, 이러한 정치적 요소의 개입은 스포츠의 제도화와 가치 구조에도 영향을 미치며, 스포츠가 정치적 상징 자본으로 기능하게 되는 배경을 설명한다. 따라서 헬싱키 대회는 스포츠와 정치의 상호작용을 설명할 수 있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전공B 6번: 체육대회 규칙과 윤리이론 적용
문항 개요: 서술형 / 요구 정답 수: 4개
① [가] 심판 판정과 칸트의 정언명령
정답: 네 행위의 준칙이 동시에 보편적 법칙이 될 수 있도록 행위하라
이론: 칸트의 의무론적 윤리
해설: 독일 철학자 이마누엘 칸트(Immanuel Kant)의 정언명령은 도덕 판단의 기준을 행위자의 의무감에 둔다. 그는 인간이 도덕적 존재로서 행위할 때, 그 행위 기준은 반드시 보편적 법칙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체육대회에서 심판의 판정은 모든 경기 참가자에게 동일한 기준으로 적용되어야 하며, 사적인 감정이나 이해관계에서 벗어나야 한다. 따라서 심판이 정언명령에 따라 판단한다면, 이는 모든 상황에서 공정함과 일관성을 지닌 행위로 간주될 수 있다. 이런 윤리는 스포츠의 공정성, 신뢰성, 도덕성 확보에 중요한 기준이 되며, 체육교육에서도 도덕적 판단의 핵심 틀로서 활용된다.
② ㉠의 행위와 결과주의 윤리
정답: 결과주의 윤리
이론: 공리주의, 결과중심
해설: ㉠ 항목에서는 2-3반이 과격하고 위험한 몸싸움을 통해 경기 결과를 중시한 행위를 보여준다. 이는 결과, 즉 승리만을 중시하며 행위의 과정이나 윤리적 정당성은 무시하는 태도로, 결과주의 윤리에 해당한다. 대표적으로 벤담(Jeremy Bentham)과 밀(John Stuart Mill)의 공리주의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도덕 판단의 기준으로 삼으며, 행위의 결과가 긍정적일 경우 행위 자체의 도덕성도 인정된다. 그러나 스포츠에서는 단기적인 승리보다 장기적인 공정성, 스포츠맨십, 배려 등의 가치가 더욱 중요하며, 이러한 결과주의적 사고는 학생 선수들의 정서 발달과 공동체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③ [나] 경기 규칙 및 제도화 단계
정답: 경기 규칙 / 표준화(Standardization)
이론: Coakley의 스포츠 제도화 이론
해설: Coakley는 스포츠의 제도화를 네 가지 단계로 나누었으며, 그 중 '표준화(Standardization)'는 경기 운영 방식, 인원 구성, 장비 조건 등을 일정하게 설정하여 경기를 공정하고 일관되게 만들기 위한 과정이다. [나] 항목에서 언급된 9인 팀 구성, 경기 시간, 심판 수, 축구화 착용 등의 세부 기준 설정은 모두 표준화의 전형적 사례이다. 이러한 규칙은 경기의 질을 높이고 선수 보호를 보장하며, 체계적인 경기 운영을 가능하게 한다. 체육대회와 같은 교육적 상황에서 이와 같은 표준화는 공정성과 예측 가능성을 제공하여 학생들의 스포츠 참여에 대한 신뢰를 형성한다.
정답 요약표
문항 | 항목 | 정답 키워드 | 이론 | 학자 |
---|---|---|---|---|
A7 | ㉠ | 올림픽 표어 | 상징 요소 | H. Didon |
A7 | ㉡ | 올림픽 신조 | 올림픽 이념 | E. Talbot |
A7 | ㉢ | 헬싱키 | 스포츠 정치 | Coakley |
B6 | [가] | 정언명령 | 의무론 | Kant |
B6 | ㉠ | 결과주의 | 공리주의 | Mill, Bentham |
B6 | ㉡ | 표준화 | 제도화 | Coakley |
참고 문헌
- 대한미디어. (2015). 체육사신론. 서울: 대한미디어.
- 대한미디어. (2015). 스포츠사회학개론. 서울: 대한미디어.
- Coakley, J. (2009). Sports in Society. McGraw-Hill Education.
- Kant, I. (1785). Groundwork of the Metaphysics of Morals.
- Bentham, J. (1789). An Introduction to the Principles of Morals and Legislation.
- Mill, J. S. (1863). Utilitarianism.
'중등교사 임용 전공체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전공체육 스포츠사회학 기출 완벽 해설|A10 & B7 문항 분석 (0) | 2025.07.12 |
---|---|
2025 전공체육 기출 운동학습제어: 어포던스와 Hick의 법칙 완벽 정리 (0) | 2025.07.09 |
체육 임용 스포츠심리학 핵심 기출! 2025년 일지형 문항 완벽 정리 (0) | 2025.07.09 |
2025 전공체육 임용 기출 완전 해설: 운동역학 영역 계산문항 총정리 (0) | 2025.07.06 |
2025 운동생리학 임용 기출 완벽 해설|젖산역치·EPOC·픽의 원리까지 (0) | 2025.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