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교사 임용 전공체육

2024학년도 중등교사 임용시험 전공체육 기출문제 중 운동심리학 영역 문항 완벽 분석

think1165 2025. 6. 29. 06:00
2024학년도 전공체육 임용시험 - 운동심리학 영역 기출 해설 (전공A 4번, 10번)
운동심리학 문항의 정답을 단일하게 제시하는 기존 해설의 한계를 넘어, 본 글에서는 실제 문항 속 사례에 따른 복수의 정답 요소를 명확히 제시합니다. 각성수준 이론, 자기효능감 이론, 정서이론 등 복합 개념의 교차 해석을 통해 체계적 학습을 도와드립니다.

목차

  1. 전공A 4번 해설: 각성수준 & 이완·심상 기법
  2. 전공A 10번 해설: 변화단계 이론, 정서 모형, 자기효능감
  3. 문항 요약 정리표
  4. 참고문헌

1. 전공A 4번 해설 - 각성 수준 & 이완·심상 기법

정답 요소 1: 개인최적수준이론(IZOF)

  • [가]에서 "사람마다 최적의 긴장 수준이 다르다"는 진술은 한계점 이론(Catastrophe Theory)이 아닌 Hanin의 개인최적수준이론(IZOF)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아야 합니다.
  • IZOF는 각 개인이 운동 수행을 최적화할 수 있는 고유의 각성수준이 존재한다고 보는 이론입니다.
“운동 수행의 최적 상태는 개인마다 다르며, 각성 수준과 불안의 상호작용 속에서 형성된다.” — Hanin, IZOF 이론

정답 요소 2: 심상이완훈련(Visuo-Motor Behavior Rehearsal, VMBR)

  • ㉠의 기법은 R. Suinn이 제시한 것으로, 이완 → 심상의 순서로 진행되는 복합 기법입니다.
  • 이것은 단순 심상이 아닌, 심리적 안정 상태에서 수행 이미지를 정교하게 반복하는 심상이완훈련(VMBR)입니다.
“VMBR은 근이완 훈련을 선행한 후 심상을 수행하여 운동 수행의 질을 높이기 위한 기법이다.” — Suinn, 1976

2. 전공A 10번 해설 - 변화단계 이론, 정서 모형, 자기효능감

정답 요소 1: 변화단계 이론 - ‘행동 준비단계’

  • [가]에서 해당 참여자는 실천은 하지 않았으나 운동 계획 및 준비의지를 보임
  • 이는 프로차스카와 디클레멘테(Prochaska & DiClemente)의 변화단계 중 ‘행동 준비단계(preparation stage)’에 해당됩니다.

정답 요소 2: 정서 반응 - 2차원 원형모형

  • 에케카키스(Ekkekakis)와 페트루첼로(Petruzzello)의 2차원 원형모형에서:
  • ㉠: 각성된 긍정 정서(Activated Positive Affect) — 예: 기분 좋음, 활력
  • ㉡: 저활성 부정 정서(Low-Activation Negative Affect) — 예: 지루함, 무기력
  • ⓐ 운동 전 상태는 ㉡ 영역에 가깝고, ⓑ 운동 종료 20분 후는 ㉠ 영역에 가까운 변화를 보임
“운동 전후의 정서 변화는 정서의 활성도와 유쾌성을 함께 고려해야 하며, 원형모형은 이를 시각적으로 설명하는 효과적인 도구다.” — Ekkekakis & Petruzzello, 2000

정답 요소 3: 자기효능감 - ‘대리 경험’

  • ㉢은 '유사한 사례 공유 및 모범사례 학습'으로서, 밴두라(Bandura)의 자기효능감 4대 원천 중 ‘대리 경험(vicarious experience)’에 해당합니다.
  • 특히 플로깅 실천자를 관찰하며 자신의 가능성을 높이는 맥락입니다.

3. 문항 요약 정리표

문항 정답 요소 핵심 이론 관련 이론가
전공A 4번 ① 개인최적수준이론(IZOF)
② 심상이완훈련(VMBR)
각성-수행 관계 / 이완·심상 복합기법 Hanin, R. Suinn
전공A 10번 ① 변화단계 이론 - 행동 준비단계
② 정서 반응 - 2차원 원형모형
③ 자기효능감 - 대리 경험
행동 변화 / 정서 조절 / 동기 이론 Prochaska & DiClemente, Ekkekakis, Bandura

4. 참고문헌

  •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Freeman.
  • Ekkekakis, P., & Petruzzello, S. J. (2000). Analysis of affect and attention in exercise.
  • Suinn, R. (1976). Visual motor behavior rehearsal.
  • 한국체육학회 편 (2020). 『스포츠심리학 핸드북』. 대한미디어.
  • 대한미디어 (2015). 『스포츠지도사 스포츠심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