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교사 임용 전공체육

2024학년도 체육 임용 기출분석: 운동생리학 핵심 문항 총정리

think1165 2025. 6. 28. 07:41
🔍 요약:
2024학년도 체육 임용시험 기출문제 중 운동생리학 문항(전공A 2번, 12번 / 전공B 4번)은 트레이닝 원리, 당뇨 예방을 위한 GI지수, 체온 조절, 폐기능 및 호흡막 확산, 심장 주기 등 임용 필수 개념을 폭넓게 다루었습니다. 본 포스트에서는 각 문항을 출제 의도에 따라 분석하고, 정답과 관련 이론 및 근거 문헌을 제시하여 임용 수험생이 전략적으로 개념을 정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 목차


문항 2 – 트레이닝 원리 & 당뇨 예방 (전공A)

정답: [가] 특이성 / [㉠] 혈당지수(Glycemic Index)

이 문항은 운동의 효과가 운동 형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에서 트레이닝 원리 중 특이성(Specificity) 개념을 요구하였으며, 당뇨 예방과 관련된 식품 선택에 있어 GI(Glycemic Index) 개념을 묻는 복합 문항입니다.

트레이닝 원리 중 '특이성'은 특정한 자극에 대해 해당 신체 기능만 발달하는 원리입니다. 예컨대 조깅은 심폐지구력 향상에는 효과적이나, 근력 증가에는 직접적 효과가 제한됩니다.

 

GI 지수는 50g의 특정 탄수화물을 섭취했을 때 혈당 상승 속도를 포도당 또는 흰빵을 기준으로 상대 비교한 값입니다. 낮은 GI 식품은 혈당을 천천히 상승시켜 인슐린 분비를 안정화시키며, 당뇨 예방에 유익합니다.

관련 이론: ACSM(2018), Exercise Physiology; Jenkins et al. (1981) Glycemic Index 개념 도입 논문

 

문항 12 – 폐기능과 확산법칙 (전공A)

정답: [㉠] 증가 / ⓑ / Fick's Law (피크의 확산법칙)

본 문항은 호흡의 생리적 원리와 폐포-모세혈관 사이의 산소 교환 메커니즘에 관한 이해를 평가합니다. 특히, 횡격막의 수축에 따른 흉강 부피 증가와, 운동 중 산소 확산량 증가의 이유를 Fick의 확산법칙에 근거해 설명해야 합니다.

Fick's Law: 확산량 = (면적 × 분압차 × 확산계수) / 조직 두께

 

운동 시 산소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말초 조직에서 산소 분압이 낮아져, 폐포와의 분압차가 커지게 되며, 이는 산소 확산 속도를 증가시킵니다. 이는 체력 훈련 시 산소 섭취량(VO₂max)이 증가하는 주요 기전 중 하나입니다.

관련 이론: Wilmore & Costill (2004), Physiology of Sport and Exercise

 

문항 4 – 체온조절, 체수분, 심장 주기 (전공B)

정답: [㉠] 복사(Radiation) / 수분 비율 차이 설명 / ⓒ, ⓓ 수정

무더운 환경에서 체온조절의 주요 기전은 복사(Radiation)이며, 습도가 높을 경우 증발이 억제되어 열손실이 어려워집니다. 이와 함께 체수분은 생체전기저항분석(BIA) 방식에서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복사는 피부 표면에서 공기 중으로 열이 이동하는 방식이며, 야외 운동 시 열획득이 증가하는 주요 요인입니다.

 

심장 주기에 대한 해설에서는 ⓒ에서 심실 탈분극 → QRS파로 정정해야 하며, ⓓ는 T파로 심실의 재분극이 맞습니다. 심장 주기의 각 구간은 위거스 다이어그램(Wiggers diagram)에 의해 설명됩니다.

관련 이론: ACSM Guidelines (2021), Guyton & Hall, Medical Physiology

위거스 다이어그램의 심장주기
위거스 다이어그램의 심장주기

 


📋 문항 요약표

문항 번호 정답 핵심 개념 출제 영역 관련 전공서
전공A 2번 특이성 / GI 트레이닝 원리 / 혈당 지수 운동생리학 ACSM (2018), Jenkins et al. (1981)
전공A 12번 횡격막 수축 시 흉강 증가 / Fick 법칙 호흡생리 / 가스교환 운동생리학 Wilmore & Costill (2004)
전공B 4번 복사 / 수분비율 / 심장 전기생리 체온조절 / 체수분 / 심장주기 운동생리학 Guyton & Hall, ACSM (2021)

📚 참고문헌

  • Wilmore, J. H., & Costill, D. L. (2004). Physiology of Sport and Exercise. Human Kinetics.
  •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2018).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10th ed.).
  • Guyton, A. C., & Hall, J. E. (2016). Textbook of Medical Physiology (13th ed.). Elsevier.
  • Jenkins, D. J. A., et al. (1981). Glycemic index of foods: a physiological basis for carbohydrate exchange. Am J Clin Nutr, 34(3), 362–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