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교사 임용 전공체육

2024학년도 체육 임용 기출분석 체육사, 체육윤리, 체육철학

think1165 2025. 6. 30. 01:00
요약문:
본 글은 2024학년도 체육 임용시험 기출문항 중 체육사, 체육윤리, 체육철학 영역의 대표 문항(전공A 8번, 전공B 2번, 전공B 8번)을 심층 분석한다. 체육의 사상적 흐름과 사조, 윤리이론, 고전 및 중세 사상가들의 신체관을 중심으로 각각 2~3개의 서술형 답안을 제시하며, 각 문항별 핵심 개념과 교육적 시사점을 정리하였다.

목차

1. 전공A 8번 – 근현대 학교체육의 발달

① 체육의 과학적 접근과 생물학적 자연주의

미국체육진흥협회(AAAPE)를 창립한 앤더슨, 히치콕, 서전트 등은 진화론에 기초한 생물학적 자연주의(Biological Naturalism) 사조에 따라 체육을 과학적으로 접근하였다. 이 사조는 건강 중심의 체육을 학문적으로 정립하고자 했으며, 당시 도시화·산업화에 따른 건강 위기의식과도 맞물려 확산되었다.

② 애슬레티시즘의 도덕적 가치 – 페어플레이 정신

애슬레티시즘은 종교적·정치적 목적 외에도 도덕적 인간을 양성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으며, 핵심은 페어플레이(Fair Play)의 정신을 육성하는 것이었다. 정직함, 질서, 승복의 태도는 당시 영국 퍼블릭스쿨 체육의 핵심 가치였다.

③ 시기 배열과 진보주의 사조의 영향

  • ⓐ 미국체육진흥협회 창립 시기 (19세기 후반)
  • ⓑ 애슬레티시즘 도입 시기 (19세기말)
  • ⓒ 진보주의 사조 등장 시기 (20세기 초)
진보주의 교육철학의 영향으로 체육은 단순한 신체 단련에서 벗어나 자율성, 표현력, 문제 해결력을 강조하는 ‘새 체육’으로 전환되었다.

2. 전공B 2번 – 체육윤리

① 스포츠 윤리 이론: 역할윤리론

“운동선수이기 이전에 학생으로서 학업에 충실해야 한다”는 발언은 각자의 역할에 따라 지켜야 할 도덕적 책임이 있다는 역할윤리론(Role Ethics)에 해당한다. 이 이론은 ‘학생선수’라는 이중적 정체성 속에서 우선되어야 할 가치를 판단하는 기준을 제공한다.

② ㉡에 들어갈 용어: 학습권

학생선수의 학업 보장을 위한 기초학력 프로그램 운영은 헌법상 교육 기본권의 하나인 학습권(Right to Learn)의 보장과 직결된다.

3. 전공B 8번 – 체육철학

① (가)의 사상가: 루소

신체와 정신의 상호보완을 주장하며 신체활동을 통한 인간 발달을 강조한 사상가는 루소(J.J. Rousseau)이다.

② ㉠에 들어갈 공통 용어: 감각

(가)~(라)의 모든 주장에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개념은 감각(Sense)이다. 루소는 감각경험을 통해 사고가 발달한다고 보았고, (나) 로크, (다) 베이컨, (라) 아퀴나스도 감각을 신체활동과 학습의 출발점으로 간주했다.

③ 사상가 구분 및 스콜라 철학 해석

  • (가) 루소
  • (나) 로크
  • (다) 베이컨
  • (라) 아퀴나스 → 스콜라 철학 집대성
아퀴나스는 신체를 영혼과 함께 인간의 본질로 보았으며, 건강한 신체가 정신의 활동과 행복의 기반이 된다고 주장하였다. 이는 중세 전반의 신체 경시 풍조(죄악의 수단, 수동적 도구)와는 다른, 신체 긍정의 관점이다.

4. 문항 요약표

전공A 8번체육사생물학적 자연주의, 애슬레티시즘, 진보주의 체육① 생물학적 자연주의
② 페어플레이
③ 시기 배열: ⓐ→ⓑ→ⓒ, 새 체육 개념
전공B 2번체육윤리역할윤리론, 학습권① 역할윤리론
② 학습권
전공B 8번체육철학감각, 사상가별 신체관, 중세 신체관 변화① 루소
② 감각
③ (나) 로크, (다) 베이컨, (라) 아퀴나스
→ (라) 스콜라철학, 신체긍정

5. 참고문헌

  • 강신복 (2021). 『체육사신론』. 백산출판사.
  • 조현철 외 (2021). 『스포츠윤리』. 레인보우북스.
  • 이인성 외 (2020). 『스포츠철학과 윤리』. 학문사.
  • 『스포츠지도사 한국체육사 / 체육철학』. 대한미디어.